"LXDE"의 두 판 사이의 차이

wwiki
이동: 둘러보기, 검색
(단축키)
 
(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)
1번째 줄: 1번째 줄:
 
Lightweight X11 Desktop Environment
 
Lightweight X11 Desktop Environment
 +
 +
창관리자로 [[Openbox]]를 사용한다.
  
 
==기본앱==
 
==기본앱==
5번째 줄: 7번째 줄:
  
 
==자동시작==
 
==자동시작==
~/.config/lxsession/LXDE-pi/autostart
+
라즈베리파이의 경우 LXDE-pi이다.
 +
 
 +
사용자설정: ~/.config/autostart
 +
 
 +
전역설정: /etc/xdg/lxsession/LXDE-pi/autostart
 +
 
 +
위 폴더에 unit.desktop파일을 복사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된다.
 +
 
 +
(/usr/share/applications/*.desktop
 +
 
 +
==start menu entry 추가==
 +
~/.local/share/applications에 .desktop파일을 만든다.
  
==단축키==
+
===Categories 지정===
사용자별 ~/.config/openbox/lxde-pi-rc.xml (파일이 없는 경우 obconf를 실행 후 종료)
+
Categories=Utility
  
System-Wide : /etc/xdg/openbox/lxde-pi-rc.xml
+
Accessories <-> Utility
<syntaxhighlight lang="xml">
 
    <keybind key="W-e">
 
      <action name="Execute">
 
        <startupnotify>
 
          <enabled>true</enabled>
 
          <name>PCManFM</name>
 
        </startupnotify>
 
        <command>pcmanfm</command>
 
      </action>
 
    </keybind>
 
  
</syntaxhighlight>멀티미디어 키보드에서 기능키의 키코드는 다음 명령을 알아볼 수 있다.
+
Graphics <-> Graphics
  
$ xev | egrep -o "keycode.*\)"
+
Internet <-> Network
  
참조사이트: https://wiki.lxde.org/en/LXDE:Questions#My_keyboard_does_not_send_standardized_keyboard_events
+
Office <-> Office
===예시===
 
KEY_PROG1키를 kodi단축키로 지정하는 예시
 
  
XF86Launch1로 정의되어 있다.<syntaxhighlight lang="xml">
+
Sound & Video <-> AudioVideo
    <keybind key="XF86Launch1">
 
      <action name="Execute">
 
        <command>kodi</command>
 
      </action>
 
    </keybind>
 
</syntaxhighlight>
 
  
== 외부 링크 ==
+
System Tools <-> System
https://wiki.debian.org/Openbox#From_a_graphical_login_manager
+
[[분류:리눅스]]
__목차보임__
 

2021년 8월 14일 (토) 05:09 기준 최신판

Lightweight X11 Desktop Environment

창관리자로 Openbox를 사용한다.

기본앱[편집 | 원본 편집]

파일관리자: pcmanfm

자동시작[편집 | 원본 편집]

라즈베리파이의 경우 LXDE-pi이다.

사용자설정: ~/.config/autostart

전역설정: /etc/xdg/lxsession/LXDE-pi/autostart

위 폴더에 unit.desktop파일을 복사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된다.

(/usr/share/applications/*.desktop

start menu entry 추가[편집 | 원본 편집]

~/.local/share/applications에 .desktop파일을 만든다.

Categories 지정[편집 | 원본 편집]

Categories=Utility

Accessories <-> Utility

Graphics <-> Graphics

Internet <-> Network

Office <-> Office

Sound & Video <-> AudioVideo

System Tools <-> Syste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