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FS 편집하기

이동: 둘러보기, 검색

경고: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.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.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,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.

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.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.
최신판 당신의 편집
1번째 줄: 1번째 줄:
Network File System
+
no_subtree_check: 파일 시스템의 전체 디렉토리가 아닌 하부 디렉토리가 내보내진 경우,서버는 내보낸 하부 디렉토리에 요청된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. 이러한 검사 과정을 하부구조 검사라고 부른다. 이 옵션을 선택하시면 하부구조 검사를 사용하지 않는다. 전체 파일 시스템이 내보내진 경우에 이 옵션을 선택하면 하부구조 검사를 하지 않음으로서 전송률을 높일 수 있다.
 
 
RFC에 정의된 오픈 표준이다.
 
 
 
[[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]]에서 응용 계층에 속한다.
 
 
 
== NFS client ==
 
 
 
=== 설치 ===
 
$ apt-get install nfs-common
 
 
 
=== 공유폴더 확인 ===
 
다음 명령으로 nfs서버의 공유폴더를 확인할 수 있다.
 
$ showmount --exports [nfs 서버 아이피]
 
 
 
==== 위치 ====
 
/sbin/showmount
 
 
 
==== 사용법 ====
 
Usage: /sbin/showmount [-adehv]
 
 
 
[--all] [--directories] [--exports]
 
 
 
[--no-headers] [--help] [--version] [host]
 
 
 
=== 마운트 ===
 
[[mount]]명령으로 마운트할 수 있다. uid와 gid에 대한 옵션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버전이 낮은 경우 적용이 되지 않는다. 서버의 옵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.
 
$ mount --types nfs --options uid=1000,gid=1000,rw 192.168.0.256:/export /export
 
/etc/[[fstab]]파일을 편집하여 자동마운트 시킬 수 있다.
 
 
 
== NFS server ==
 
$ sudo apt install nfs-kernel-server
 
 
 
===설정===
 
/etc/exports
 
 
 
https://linux.die.net/man/5/exports
 
 
 
==== General Options ====
 
 
 
===== no_subtree_check =====
 
파일 시스템의 전체 디렉토리가 아닌 하부 디렉토리가 내보내진 경우,서버는 내보낸 하부 디렉토리에 요청된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. 이러한 검사 과정을 하부구조 검사라고 부른다. 이 옵션을 선택하시면 하부구조 검사를 사용하지 않는다. 전체 파일 시스템이 내보내진 경우에 이 옵션을 선택하면 하부구조 검사를 하지 않음으로서 전송률을 높일 수 있다.
 
 
 
==== User ID Mapping ====
 
 
 
===== root_squash =====
 
uid/gid 0을 익명 uid/gid로 매핑된다.
 
 
 
직역하면 root를 찌그러트리다. root로 파일을 생성할 수 없다.
 
 
 
===== no_root_squash =====
 
root squashing을 끈다.
 
 
 
client가 root면 server에도 root로 접근하게 함. 신뢰할 수 있는 사람에게만 허용하는 것이 좋다.
 
 
 
===== all_squash =====
 
모든 uid와 gid를 익명유저 매핑한다.
 
 
 
===== anonuid and anongid =====
 
익명 계정의 uid,gid를 명시적으로 설정한다.
 
all_squash,anonuid=xxx,anongid=yyy
 
 
 
=== 서비스 ===
 
$ systemctl status nfs-server.service
 
"A dependency job for nfs-server.service failed."에러가 날 때는 재부팅하거나 서비스파일(/lib/systemd/system/nfs-server.service)에서 의존성 항목을 체크한다.
 
[[분류:파일]]
 
[[분류:네트워크]]
 
[[분류:프로토콜]]
 

w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, 수정,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.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,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.
또한,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(자세한 사항은 Wwiki:저작권 문서를 보세요).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!

취소 편집 도움말 (새 창에서 열림)